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1970년대의 트롯(1)

by 클라라영 2025. 4. 18.

1970년대는 한국 대중음악계에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으며, 트로트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변화와 발전을 겪었습니다.

 

1.시대적 배경

*포크와 록의 성장

-1970년대 초, 포크 음악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대중음악의 주류로 떠올랐습니다. 록 음악 또한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며 젊은 층의 지지를 받았습니다.

 

*트로트의 위축

-포크와 록의 성장에 따라 트로트는 상대적으로 인기가 하락하며 쇠퇴하는 듯 보였습니다. 향토적인 이미지가 강했던 트로트는 젊은 세대의 변화하는 음악적 취향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.

 

*국가 주도 문화 정책

-유신 정권 하에서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한 음악만이 선별되는 등 음악계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지기도 했습니다.

 

2.음악적 특징

*다양한 시도의 모색

-트로트는 쇠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모색했습니다. , 포크, 록 등 다른 장르와의 융합을 시도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.

 

*발라드 트로트의 등장

-서정적인 멜로디와 가사를 강조하는 발라드 스타일의 트로트가 등장하며 중장년층에게 꾸준한 인기를 얻었습니다. 조용필의 초기 음악 등이 대표적입니다.

 

*록 트로트 (트로트 고고)의 시도

-강렬한 드럼과 기타 리프 등 록 음악의 요소를 트로트에 접목한 시도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. 윤수일 등이 이 분야에서 활동했습니다.

 

*7음계 음악의 증가

기존 5음계 위주의 트로트에서 벗어나 7음계를 활용한 곡들이 늘어나며 음악적으로 더욱 풍성해졌습니다. 1970~1990년대의 트롯