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30년대와 1940년대의 트로트는 한국 대중음악사의 중요한 시기로,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민족의 애환과 정서를 담아내며 형성되고 발전했습니다. 이 시기 트로트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1. 시대적 배경과 정서:
*일제강점기의 암울함
-민족의 고통과 설움, 고향 상실감,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이 음악 전반에 깊게 드리워져 있었습니다.
*민족의 애환과 향수
-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트로트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, 잃어버린 주권에 대한 슬픔, 그리고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 등을 담아내며 대중의 깊은 공감을 얻었습니다.
2. 음악적 특징:
*일본 엔카의 영향
-트로트는 일본 엔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, 특히 단조 5음계(미야코부시 음계 - 라, 시, 도, 미, 파)를 사용하는 특징이 나타납니다.
* 애조 띤 선율
-슬프고 애상적인 분위기의 멜로디가 주를 이루며, 이는 당시 민족의 정서를 반영한 것입니다.
* 꺾기 (요나누키 음계)
-엔카의 특징적인 창법인 '꺾기'가 트로트에도 나타나며, 이는 슬픔과 애절함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.
* 4분의 4박자
주로 4분의 4박자의 비교적 느린 템포를 사용하여 차분하고 애잔한 느낌을 강조했습니다.
* 서정적인 가사
-가사는 개인적인 슬픔뿐만 아니라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, 고향에 대한 그리움 등을 담아내어 폭넓은 공감을 얻었습니다.